경제&재테크

주택연금으로 노후대비하기(내가 받을 수 있는 월 주택연금액은?)

과즙농축 2022. 11. 7. 12:53

주택연금으로 노후대비하기(내가 받을 수 있는 월 주택연금액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뉴스에

“아들 빚 갚느라 노후대비 망쳐”… 빈곤 내몰린 노인들 주택연금 가입 증가

"주택연금 가입자 40% 가까이 증가"

“집값 더 떨어지기 전에 가입하자”

노후준비의 최대 관심사인 주택연금에 대한 기사들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아무래도 이번 부동산 침체기가 길게는 수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60,70년대생 어르신들의 발 빠른 행보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겠죠.

그래서 오늘은 우리도 언젠가 맞이할 노후를 대비하여 주택연금에 대해 미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연금제도란?
보유한 집을 담보로 평생 혹은 일정 기간 동안 매월 연금방식으로 노후생활 자금을 지급받는 '국가 보증 금융상품'입니다.

주택연금신청 방식

출처 -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에 가입하기 위해 HF(한국주택금융공사)가 은행에 보증서를 발급하고 은행은 보증서에 의해 연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쉽게 얘기해서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보증을 하고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서 지급하는 구조!


주택연금 단점
1. 집값 상승 미반영으로 미래에 내 집값이 올라도 수령액은 상승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앞서 뉴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동산 하락기에 접어든 요즘 내 집값이 더 떨어지기 전에 주택연금에 가입하려는 분들이 많아진 이유이죠.

2. 초기 가입 시 부담되는 보증료입니다. 주택연금 가입 시 집값의 1.5%에 달하는 보증료를 가입비로 내야 하는데요.
ex) 내 집값이 3억이라면 약 450만 원의 가입비가 필요한 셈입니다.

3. 해지 시 불이익이 큽니다. 해지 시에는 지급받은 연금 + 연 이자(=보증료, 0.75%)를 상환해야 합니다.
ex) 3억짜리 집으로 가입하여 10년간 평균 100만 원 정도를 연금으로 받았다면, 1억의 반환자금 + 0.75%의 이자인 208만 원을 10년간 더한 2080만 원까지 상환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도해지와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좋은 주택연금은 제도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주택연금과 주담대의 차이점

주담대는 대출 총액에 대한 이자가 붙는 반면, 주택연금은 월마다 지급되는 연금 + 연보증료(0.75%)에 대한 이자만 발생하므로 훨씬 저렴한 이자 비용이 들게 되지요.

ex) 70세 가입자 기준 3억 원의 주택을 담보로 주택연금을 받게 되면, 월 연금은 약 93만 원, 보증료가 23만 원이며 이 둘을 합친 116만 원에 대한 이자만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자와 보증료는 매달 상환하는 방식이 아닌 사후 정산이므로 가입자는 연금수령 기간에는 매월 연금만 지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자와 보증료는 가입자가 사망한 후 경매로 되판 후 연금 누적액과 대출이자 등을 정산하여 남은 비용을 유가족에게 승계합니다.

+++

만약 집값보다 연금 지급비용, 이자비용 등이 초과하더라도 유가족에게 배상요구를 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겠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주택유형, 가입나이, 지급방법에 따라 월 연금액이 차이가 나게 됩니다.

위 표를 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주택유형은 일반주택이 가장 많은 연금을 수령하게 되네요.

본인의 자세한 주택연금 수령액을 알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 CLICK! CLICK!
https://www.hf.go.kr/hf/sub03/sub02.do


가입요건
1.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
2. 부부 중 1명이 대한민국 국민
3. 부부기준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주택소유자
4. 다주택자라도 합산가격이 공시가격 9억 원(시가 약 12억 원) 이하 가능
5. 공시가격 9억 원 초과 2 주택자는 3년 이내 1 주택 처분조건 가입 가능


주택연금 지급기간

당연히 '평생'이고요.

부부가 함께 가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부 중 한 분이 돌아가신 경우에도 감액 없이 100% 남은 배우자가 승계하여 받게 됩니다.

총 평
노후생활자금, 주거 노후의 주된 2가지 문제 동시 해결
좋은 제도 확실!
그러나
본인이 소유한 주택의 잠재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
시세상승 반영이 안 되기 때문


이상으로 노후준비의 한 방법인 주택연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자료로 돌아오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2.09.23 - [경제&재테크] - 연금저축으로 노후대비하기 - 삼성증권 연금저축펀드 ETF 매매 현황, 수익률

연금저축으로 노후대비하기 - 삼성증권 연금저축펀드 ETF 매매 현황, 수익률

연금저축으로 노후대비하기 - 삼성증권 연금저축펀드 ETF 매매 현황, 수익률 안녕하세요 오늘은 올해의 3/4가 도래한 이 시점에서 제 연금저축계좌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저는 연금저축계좌는

lifeinside.tistory.com